방역·소독 사업
감염병이 유행 가능한 지역 및 취약지역에 감염병 매개해충(모기, 파리 등) 및 유충을 구제하는 방역활동을 연중 실시하여 말라리아 등의 감염병 전파 확산 및 발생을 예방합니다.
- 기간 : 연중
- 대상 : 감염병이 유행 가능한 지역 및 취약지역
- 방법 : 분(연)무, 야간연막, 유충구제 등
- 분무와 연막 방역 소독의 장·단점 비교
분무와 연막 방역 소독의 장·단점 비교
구분 |
분(연)무 방역소독 |
연막 방역소독 |
장점 |
- 희석용매를 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다.
- 약품 잔류효과가 길다.
- 방역 실시 중 연(막)기로 인한 시야 장애로 인한 교통장애가 없다.
- 화재위험이 없다.
- 방역·소독 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.
|
- 분(연)무 방법에 비하여 넓은지역을 단시간에 살포할 수 있다.
- 가시적인 효과로 주민이 선호한다.
|
단점 |
- 연(막)기 등 가시적으로 보이는 것이 없어 주민이 방역소독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오인한다.
- 단시간에 많은 지역의 살포 불가능.
|
- 희석용매로 사용하는 경유는 물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.
- 기상조건, 살충제의 감수성, 살포방법, 살포시간 (일몰시간 전후) 등 제약사항이 있다.
- 연(막)기로 시야를 가려 교통장애 및 안전 사고의 문제가 있다.
- 약품 잔류효과가 적다.
- 희석용매제인 경유로 인한 화재위험이 있다.
|
<출처 - 계양구보건소>